새로운 운영 방식의 등장이 기존의 권력 구조에 큰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제 여러분은 이를 진압하기 위해 움직이는 나라들의 모습을 보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그것은 점점 걷잡을 수 없이 더 커지고 있습니다.
- Tim Draper - Draper Associates/DFJ/Draper University 창립자
블록체인의 대표적 인물인 Tim Draper의 인터뷰중 나온 발언.
블록체인은 가상화폐의 '핵심'기술이다.
가상화폐에서 블록체인을 빼놓고 얘기할 수 없다.
가상화폐를 얘기할 때, 블록체인을 빼고 얘기한다는것은
삼성전자를 얘기하는데 반도체를 빼고 얘기하는것.
여기서 이 글을 읽는, 또는 블록체인이 궁금해서 검색을 통해 들어온 독자분들은 생각할 것이다.
도대체 블록체인이 뭐야?

블록체인의 기술을 잘 나타낸 사진.
중앙에 서버를 둬서 수많은 정보 시스템을 관리하는 중앙집권 구조가 아닌,
개인과 개인이 직접 연결되는 P2P 네트워크 형식의 분산 거래장부 구조로 데이터를 관리한다.
블록체인의 핵심.
블록체인은 데이터 분산 처리기술이라고도 부른다.
즉,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가 모든 거래 내역 등의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는 기술을 지칭하는 말이다.
블록체인에서 '블록(Block)'은 일정 시간동안 확정된 거래내역이다.
온라인에서 거래 내용이 담긴 블록이 형성되고, 이 블록은 네트워크에 있는 모든 참여자에게 전송된다.
전송된 블록을 받은 참여자들은 해당 거래의 타당성 여부를 확인하고, 승인된 블록만이 기존 '체인(Chain)'에 연결되면서 송금이 이루어진다.
신용기반이 아닌, 시스템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해 제3자(중앙기관)가 거래를 보증하지 않고도 거래 당사자끼리 가치(가상화폐)를 교환할 수 있다.
이런 블록(Block)들은 형성된 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연결된 체인(Chain)의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 기술을 '블록체인'이라고 부르는 것.
기존 중앙집권 구조(은행)와 블록체인의 차이점.

출처 : SW 중심사회
기존 중앙집권 구조(은행)는 중앙기관이 모든 거래 내역을 가지고 있다.
만약 갑이 을에게 돈을 송금한다고 하면,
중앙집권 구조에서는 중앙기관이 중간 역할을 해야한다.
왜냐하면 갑이 을에게 돈을 송금한다는 사실을 '증명'해줘야 하기 때문이다.
안전한 거래가 될 수 있도록 중앙기관이 중간 역할을 해주는 것.
그렇다면 블록체인은?
물론 블록체인도 거래 내역을 저장하고 증명한다.
하지만 거래 내역을 중앙기관이 아닌 참여자가 저장을 한다.
만약 한 네트워크에 100명이 참여하고 있다면, 갑과 을의 거래내역을 100개의 블록을 생성해서 100명에 모두 전송, 저장한다.
나중에 거래내역을 확인할 때 블록으로 나눠 저장한 데이터들을 연결해 확인한다.
블록체인의 특징.

블록(Block)들이 체인(Chain)에 연결되어있는 모습.
블록체인의 특징은 뭐가 있을까?
첫 번째로, 분산저장을 한다는 점.
기존의 거래방식에서 데이터를 위 · 변조하기 위해선 중앙기관의 서버를 공격하면 가능했다.
은행이 해킹당했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현실적인 위협으로 다가올 것.
그러나 블록체인은 여러 명이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위 · 변조가 어렵다.
WHY? 블록체인의 네트워크를 위 · 변조하기 위해선 블록을 가지고 있는 참여자의 모든 거래 데이터를 공격해야 하기 때문에
사실상 해킹은 어렵다.
※ 해킹이 절대 안된다는 말은 아님.
두 번째로, 블록체인은 중앙 관리자가 필요 없다는 점.
은행이나 정부 등의 중앙 관리자가 필요했던 것은 공식적인 증명, 인증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블록체인은 다수의 참여자가 데이터를 저장하고 증명해주기 때문에 중앙관리자가 존재하지 않는다.
마치며
일각에서는 블록체인이 중앙기관을 대체할 것이라는 전망을 하기도 했다.
가상화폐라는게 투기성이 짙은 자산이긴 하지만
블록체인이 가진 높은 신뢰성과 보안성, 간편한 거래등의 장점을 필두로 세운다면,
향후 20년 안에는 중앙기관이 없어지지 않을까?
또 얼마 전, '도지코인'이라는 가상화폐의 거래대금이 코스피 거래대금을 뛰어 넘었다는 기사를 보았다.
그만큼 지금 가상화폐를 시작하는 분들이 많다는걸로 보인다.
가상화폐는 결국 정보싸움이고, 아는게 많은 사람이 항상 성투한다.
독자분들도 그 사실을 기억하고, 되새기셨으면 좋겠다.
'가상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NFT란 ? (0) | 2023.06.24 |
---|---|
메인넷이란? (0) | 2023.06.23 |
스테이블 코인이란? (0) | 2023.06.21 |
지분증명(PoS)과 작업증명(PoW) (0) | 2023.06.20 |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란? (0) | 2023.06.18 |